[디자인] 디자인 시스템이 필요한 이유
2025. 3. 4. 23:58ㆍ디자인
반응형
1. 디자인 시스템이 왜 필요할까?
"디자인 시스템은 단순히 예쁜 UI를 정리한 것이 아니라, 효율적인 협업과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보장하는 핵심 도구야."
왜 이렇게 말할 수 있을까? 이유를 정리해볼게.
- 일관성 유지
- 동일한 UI 요소를 사용하면 사용자 경험이 일관되게 유지돼.
- 브랜드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신뢰감을 줄 수 있어.
- 디자인 및 개발 효율성 향상
- 이미 정의된 컴포넌트를 재사용하면 작업 속도가 빨라져.
- 개발팀과의 협업이 쉬워지고, 코드 중복도 줄어들어.
- 협업 강화
- 디자이너, 개발자, 기획자가 같은 언어를 쓰면서 커뮤니케이션 오류를 줄일 수 있어.
- 피드백과 수정 과정이 간소화돼.
- 확장성과 유지보수 용이성
-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도 기존 시스템을 기반으로 확장할 수 있어.
- 디자인이 변해도 전체적으로 한 번에 업데이트할 수 있어.
이제 디자인 시스템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까?
2. 디자인 시스템을 어떻게 적용할까?
1) 스타트업에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
- 빠른 출시가 중요한 스타트업에서는 필수적인 요소부터 먼저 정의하는 것이 좋아.
- 핵심 UI 요소(버튼, 타이포그래피, 컬러 팔레트)를 먼저 정리하고, 점진적으로 확장해.
- 처음부터 너무 방대한 시스템을 만들기보다, 필요할 때마다 업데이트하면서 발전시키는 방식이 현실적이야.
2) 대기업에서의 디자인 시스템 도입
- 여러 팀과 제품이 협업하는 대기업에서는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운영 체계가 중요해.
- 디자인 시스템 전담 팀을 두고, 정기적인 유지보수와 교육을 진행해야 해.
- 기존의 디자인 규칙을 한 번에 바꾸기보다는, 단계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효과적이야.
3) 기존 제품군에 디자인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
- 기존 UI를 분석하고 중복되거나 불필요한 요소를 정리하는 것부터 시작해.
- 한 번에 모든 UI를 바꾸기보다, 핵심 페이지부터 점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법이야.
- 사용자 경험이 크게 변하지 않도록, 기존 UX와의 연결성을 고려해야 해.
4) 신규 프로젝트에서 처음부터 디자인 시스템 적용하기
- 프로젝트 초기에 디자인 원칙과 기본 요소(컴포넌트, 스타일 등)를 정리하면 이후 작업이 훨씬 수월해.
- 디자인과 개발을 병행하며, 실제 사용성을 검증하면서 발전시키는 게 좋아.
- 처음부터 완벽한 시스템을 만들려고 하기보다,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빠르게 실행해.
5) 크로스플랫폼(웹, 모바일, 데스크톱) 디자인 시스템 운영
- 웹, iOS, 안드로이드 등 각 플랫폼별 가이드라인을 고려해야 해.
- 디자인 토큰(컬러, 폰트, 아이콘 크기 등)을 활용하면 플랫폼 간 일관성을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조정이 가능해.
- 플랫폼별 UI 차이를 최소화하면서도, 사용자가 익숙한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.
3. UI/UX 디자이너가 디자인 시스템을 잘 활용하는 법
1) 디자인 시스템 활용 팁
-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 적극 활용: 같은 버튼을 여러 개 만들지 말고, 디자인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컴포넌트를 사용해.
- 일관성 유지: 너무 독창적인 디자인을 만들려고 하지 말고, 기존 시스템의 원칙을 지키는 것이 UX에 더 좋아.
- 컴포넌트 변주 활용: 기본 버튼 스타일이 있더라도,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상태(Primary, Secondary, Disabled 등)를 활용할 수 있어.
2) 개발자 및 팀원과의 협업
- 공통된 문서를 활용: 디자인 시스템 문서를 개발자와 공유하고, 같은 기준을 참고해야 해.
- 디자인-개발 협업 툴(Figma, Storybook 등) 활용: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어.
- 초기 협업 중요: 디자인 단계에서 개발팀과 논의하면, 개발 가능성을 고려한 현실적인 디자인을 만들 수 있어.
3) 기존 시스템과의 통합 고려
- 기존 UI 요소들과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, 변경을 점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좋아.
- 사용자가 갑자기 바뀐 UI에 혼란을 느끼지 않도록, 변화 과정에서 가이드 제공이 필요해.
4) 디자인 시스템 유지보수
- 정기적인 감사(Audit) 진행: 디자인 시스템이 잘 적용되고 있는지 점검하고 불필요한 요소를 정리해.
- 업데이트 관리: 새로운 컴포넌트 추가, 기존 스타일 변경 시 이를 문서화하고 공유해야 해.
- 팀원의 피드백 적극 반영: 개발자, 기획자, 디자이너 등 다양한 팀원들의 의견을 듣고 개선해 나가야 해.
4. 마무리: 디자인 시스템은 '팀의 자산'
디자인 시스템은 단순한 스타일 가이드가 아니라, 팀 전체의 생산성을 높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도구야. 처음에는 구축하는 데 시간이 들겠지만, 장기적으로 보면 디자인 일관성을 유지하고 작업 속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돼.
디자인 시스템을 팀의 자산으로 여기고, 함께 발전시켜 나가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거야!
해외 및 국내 디자인 시스템 예시
해외 디자인 시스템 TOP 10
- Apple | Human Interface Guidelines: iOS, macOS, watchOS 등 애플 제품 전반에 적용
- Google | Material Design 3: 사용자의 개별 경험을 반영한 UI 시스템
- Microsoft | Fluent 2: Windows 및 Office 제품군에 적용
- Samsung | One UI 6: Galaxy 기기를 위한 디자인 시스템
- IBM | Carbon Design System: 클라우드 서비스용 디자인 시스템
국내 디자인 시스템
- 11번가 | Design System
- 11번가의 브랜드 UI 원칙과 사용자 경험을 정리한 가이드라인.
- 🔗 디자인 시스템
- Gmarket | Gmarket Design System
- 브랜드 정체성과 일관성을 고려한 UI 가이드 제공.
- 🔗 디자인 시스템
- 카카오 | Kakao Design System
- 카카오톡 및 다양한 서비스에서 적용되는 UI/UX 시스템.
- 🔗 디자인 시스템
- 네이버 | NAVER Design System
- 네이버 서비스에 일관된 UX를 제공하는 디자인 시스템.
- 🔗 디자인 시스템
- 토스 | Toss Design System
- 금융 서비스에 최적화된 UI/UX 가이드라인.
- 🔗 디자인 시스템
- 배달의민족 | Baemin Design System
-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배달 앱 UI 가이드라인.
- 🔗 디자인 시스템
- LG전자 | LG UX Guide
- LG 제품군의 UI 디자인 원칙을 제공하는 시스템.
- 🔗 디자인 시스템
- SKT | T Design System
- SKT 서비스 전반에 적용되는 UI/UX 가이드.
- 🔗 디자인 시스템
- 현대자동차 | Hyundai Design System
-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UI에 적용되는 UX 가이드.
- 🔗 디자인 시스템
- 쿠팡 | Coupang Design System
- 이커머스 UX에 최적화된 UI 컴포넌트 제공.
- 🔗 디자인 시스템
반응형
'디자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디자인] 8년 차 스타트업 UX/UI 디자이너가 전하는 실무 꿀팁 (0) | 2025.03.03 |
---|---|
[채용공고] 2025년 UI/UX 디자이너 채용공고 정리(경력 및 신입) (1) | 2025.03.02 |